7. Infra | Cloud/Docker / / 2023. 11. 13. 16:01

[VM] Ubuntu 설치하고 환경 구성하기

2. Ubuntu  설치하고 환경 구성하기

우분투 다운로드 이후 우분투 환경설정 약간 변경함 (4096MB, 컨트롤러:IDE를 다운받은 우분투로 설정)

이후 시작버튼 클릭 

언어설정 (한국어) ->  Install Ubuntu 클릭 -> 자동으로 한국어 키보드 설정됨 -> 기본값으로 설치 하고

정보입력창에 개인 입력

환경설정에 들어가 다음과같이 IPv4를 바꿔줌

터미널에 들어가서 hostname이랑 hosts 관련 설정을 해주고, 8.8.8.8(Google의 DNS)에 3개만 접속 해주는 테스트를 한다

잘 되는거면, 만든 VM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라고 생각하면 된다.

 

우분투는 기본적으로 root에 PW가 없다 -> 그래서 root계정으로 전환하는것이 안된다

그래서 root에 PW를 설정해야지만 root계정으로 전환을 할 수 있다 (sudo passwd root 로 설정 가능)

이후, root로 전환할 때는 su - root를 입력 후, PW입력 하여 전환가능 

또,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GUI부팅을 지원하지만, HW리소스를 적게 쓰도록 Text부팅으로 디폴트설정을 바꿔준다

(systemctl set-default multi-user.target)

우분투는 SSH서버 설치 전에 apt-get update (레포지토리 업데이트) 를 먼저 해줘야한다

-y : 중간에 물어보지말고 모두 yes라는 뜻

openssh-server : openssh-server가 remote에서 우리 시스템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서 대기 해주는 서비스

curl : 클라이언트 커멘트라인의 웹브라우저

vim : vi에디터

tree : tree커멘드

를 설치한다는 구문

ssh는 쉽게이야기해서 remote로그인을 지원해주는 애플리케이션

이거를 설치하면, windows에서 xshell로 가상서버에 연결 할 수 있다.

ssh의 상태 확인하는 구문 : systemctl status sshd ~> active(running)을 확인할 수 있다.

제대로 ssh로 사용할수있는지 알아보려면, 계정으로 localgost 접속을 하는 구문을 넣으면,

처음 접속할때는 fingerprint를 받아야하고 (yes)  -> 암호를 입력하고 들어가면, 

exit 하면 root로 이동함

시스템 리부트 : reboot 입력

 

xShell을 이용하여 VM(우분투)로 연결하기

처음엔 핑거프린트 관련 안내사항이 나옴 (수락 및 저장 클릭)

닫기를 누르면 3가지의 경우가 있고 그 중에 하나를 골라 끄면 된다'

 

스냅샷 : 현재 시점을 저장, 언제든 되돌릴 수 있는 기능

간단하게 어디까지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제목과 설명을 넣어서 저장한다

728x90

'7. Infra | Cloud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VM] Hypervisor 설치하기  (0) 2023.11.10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